우리나라 경제가 약 1년간 정체 또는 후퇴하면서 은행 대출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가계와 기업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시중은행의 연체율은 약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4대 금융지주의 부실채권 규모는 사상 처음으로 12조 원을 초과했습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대출받아 사업을 시작했으나 1년 만에 적자가 발생해 연체가 시작됐다"는 등의 게시물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은행권 관계자는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국제 정세 불안과 국내 정치 불안정이 경기 침체로 이어지면서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커졌고, 이러한 상황이 중소기업에까지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달 말 기준 5대 은행의 연체율 단순 평균치는 0.41%로, 지난해 말보다 0.07%p 상승했습니다. 기업 대출 연체율의 경우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10년 만에, 농협은행은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관세 영향이 2분기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은행들은 건전성 관리를 위해 위험가중자산을 축소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리스크 관리 강화는 은행 대출 문턱이 높아진다는 의미"라며 "작은 업체들은 1금융권에서 자금 조달이 어려워져 2금융권으로 이동하게 되고, 2금융권도 여의치 않으면 러시앤캐시나 미즈사랑과 같은 대부업체 순위 상위 업체들을 찾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로 인해 이자 부담이 커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고 우려했습니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대부대출 쉬운곳을 찾는 소상공인들이 늘고 있지만, 이는 더 높은 이자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4대 은행의 부실채권은 석 달 만에 1조 7천억 원 증가해 12조 6천억 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부실채권은 보통 1분기에 가장 적고 연말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데다, 미국발 불확실성까지 본격화되면 은행의 건전성 관리가 더욱 어려워지면서 자영업자들의 부담도 커질 전망입니다.